교황 클레멘스 7세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클레멘스 7세는 1478년 피렌체에서 사생아로 태어나, 추기경 시절을 거쳐 1523년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예술과 학문을 후원하여 미켈란젤로의 시스티나 성당 벽화, 라파엘로의 변용 등을 지원했으며,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 연구를 승인했다. 정치적으로는 프랑스와 신성 로마 제국 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려 했으나, 로마 약탈과 잉글랜드 교회의 분열을 겪으며 가톨릭 교회의 권위가 약화되었다. 그는 1534년 독버섯 중독으로 사망했으며, 우유부단한 면모와 더불어 예술 후원자로 평가받는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나르본 대교구장 - 교황 클레멘스 4세
클레멘스 4세는 프랑스 출신 법률가로 교황(재위: 1265년 ~ 1268년)이 되었으며, 시칠리아 왕국 분쟁 개입, 토마스 아퀴나스 후원, 로저 베이컨에게 《대저작》 집필 지시 등 학문 장려에 힘썼다. - 식중독으로 죽은 사람 - 헨리 1세
헨리 1세는 1100년부터 1135년까지 잉글랜드를 통치한 왕으로, 자유 헌장 선포, 노르망디 정복, 성직 임명권 분쟁 해결, 행정 및 사법 개혁을 통해 국가 기틀을 다졌지만 후계자 문제로 인해 내전의 씨앗을 남겼다. - 식중독으로 죽은 사람 - 카를 6세
카를 6세는 1711년부터 1740년까지 신성 로마 제국 황제였으며, 스페인 왕위 계승 전쟁에 연루되었고, 합스부르크 가문의 마지막 남성 상속자로서 국사 조칙을 발표하고 중상주의 정책을 추진했으나, 딸 마리아 테레지아가 상속하면서 오스트리아 왕위 계승 전쟁으로 이어졌다. - 1534년 사망 - 한효원
- 1534년 사망 - 장순손
장순손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문과 급제 후 요직을 두루 거치고 영의정에 올랐으며 김안로의 측근으로 활동하다 1534년에 사망했다.
교황 클레멘스 7세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인물 정보 | |
![]() | |
이름 | 클레멘스 7세 |
본명 | 줄리오 디 줄리아노 데 메디치 |
출생일 | 1478년 5월 26일 |
출생지 | 피렌체, 피렌체 공화국 |
사망일 | 1534년 9월 25일 |
사망지 | 로마, 교황령 |
매장지 |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 대성당, 로마 |
부모 | 줄리아노 데 메디치 피오레타 고리니 |
모토 | (흠 없는 순수) |
서명 | Signature of Pope Clement VII.svg |
직책 | |
직함 | 로마 주교 |
교회 | 가톨릭 교회 |
임기 시작 | 1523년 11월 19일 |
임기 종료 | 1534년 9월 25일 |
선임자 | 하드리아노 6세 |
후임자 | 바오로 3세 |
서품 | 1517년 12월 19일 |
축성 | 1517년 12월 21일 |
축성자 | 레오 10세 |
추기경 임명 | 1513년 9월 23일 |
추기경 임명자 | 레오 10세 |
이전 직책 | 피렌체 대주교 (1513–1523) 산타 마리아 인 도미니카 성당 추기경 (1513–1517) 산 클레멘테 성당 추기경 (1517) 산 로렌초 인 다마소 성당 추기경 (1517–1523) |
기타 정보 | |
영향 | 클레멘스 |
2. 생애 초기
클레멘스 7세는 1478년 피렌체에서 줄리아노 데 메디치와 그의 정부(情婦) 피오레타 고리니 사이에서 사생아로 태어났다. 아버지 줄리아노는 그가 태어나기 한 달 전 파치가의 음모사건으로 암살당했다.[110] 어머니마저 여읜 후 백부 로렌초 데 메디치가 그를 거두어 양육하였다. 1494년 메디치 가문이 피렌체에서 추방당하자, 1512년까지 가문의 일원들과 함께 유럽을 떠돌았다.[111]
사생아였기 때문에 성직자가 되기 어려웠던 그는 로도스 기사단에 입단하여 군인의 길을 걸었다.[17] 그러나 1492년 백부 로렌초가 사망하고 사촌 조반니(훗날 교황 레오 10세)가 추기경이 되면서 교회 문제에 관여하게 되었고, 피사 대학교에서 교회법을 공부했다.[17]
1513년 사촌형 조반니가 교황 레오 10세로 선출되자, 로마로 거처를 옮겨 교황청의 실세로 등극하였다. 교황 레오 10세의 참모이자 고문으로 활동하였으며, 피렌체 대교구장으로 임명되어 메디치 가문의 이익을 위해 일했다.
1510년경, 메디치 가문의 하녀였던 Simonetta da Collevecchio|시모네타 다 콜레베키오it가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를 낳았다. 알레산드로는 공식적으로 로렌초 2세 데 메디치의 사생아로 인정받았지만, 당대와 현대의 많은 학자들은 알레산드로가 그의 사생아라고 주장한다.[24]
2. 1. 어린 시절
1478년 5월 26일, 이탈리아반도에 있는 피렌체 공화국에서 줄리아노 데 메디치와 그의 정부(情婦) 고리니 가문의 안토니아 델 치타디노 사이에서 태어났다. 부친 줄리아노는 그가 태어나기 한 달 전에 파치가의 음모사건으로 암살당했다.[110] 얼마 안 가 어머니마저 여의며 고아가 된 줄리오를 백부 로렌초 데 메디치가 거두어들여 양육하였다. 1494년에 메디치 가문이 피렌체에서 추방당하자 줄리오는 1512년까지 18년 동안 가문의 일족들과 함께 유럽의 여러 나라를 떠돌아다녀야 했다.[111]줄리오 데 메디치의 삶은 비극적인 상황에서 시작되었다. 1478년 4월 26일, 그가 태어나기 정확히 한 달 전, 그의 아버지인 줄리아노 데 메디치 (로렌초 데 메디체의 동생)는 현재 "파치 음모"로 알려진 사건에서 그의 가족의 적들에 의해 피렌체 대성당에서 살해되었다.[17] 그는 1478년 5월 26일 피렌체에서 사생아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의 정확한 신원은 알려지지 않았지만, 많은 학자들은 그녀가 안토니오 고리니 교수의 딸인 피오레타 고리니라고 주장한다.[17][18] 줄리오는 첫 7년을 대부인 건축가 안토니오 다 상갈로 더 앨더와 함께 보냈다.[17]
그 후, 로렌초 데 메디체는 그를 자신의 아들들인 조반니(훗날 교황 레오 10세), 피에로, 줄리아노와 함께 자신의 아들 중 하나로 키웠다.[19] 안젤로 폴리치아노와 같은 인문주의자들에 의해 피렌체의 메디치 궁전에서 교육을 받았고, 미켈란젤로와 같은 신동들과 함께 줄리오는 뛰어난 음악가가 되었다.[19][20] 그는 내성적이고, 외모는 잘생겼다고 알려져 있었다.[21]
줄리오는 본래 성직자에 대한 경향이 있었지만, 그의 사생아 신분은 그가 교회에서 고위직을 맡는 것을 막았다. 그래서 로렌초 데 메디체는 그가 군인으로서의 경력을 쌓도록 도왔다.[17] 그는 로도스 기사단에 입단했지만, 카푸아의 대수도원장이 되기도 했다.[17] 1492년, 로렌초 데 메디체가 사망하고 조반니 데 메디치가 추기경으로서 그의 임무를 맡게 되자, 줄리오는 교회 문제에 더 깊이 관여하게 되었다.[17] 그는 피사 대학교에서 교회법을 공부했고, 1492년 콘클라베에 조반니와 함께 참석하여 로드리고 보르자가 교황 알렉산데르 6세로 선출되는 것을 지켜보았다.[17]
로렌초 데 메디체의 장남인 피에로가 불운을 겪은 후, 메디치 가문은 1494년 피렌체에서 추방되었다.[22] 그 후 6년 동안 추기경 조반니와 줄리오는 함께 유럽 전역을 떠돌아다녔다. 두 번이나 체포되기도 했는데 (처음은 울름에서, 나중에는 루앙에서였다). 그때마다 피에로가 그들을 구출했다.[17] 1500년, 둘 다 이탈리아로 돌아와 피렌체에서 가문을 재건하는 데 집중했다. 둘 다 1512년 라벤나 전투에 참석했는데, 이 전투에서 추기경 조반니는 프랑스군에게 포로로 잡혔지만 줄리오는 탈출했다. 이로 인해 줄리오는 교황 율리우스 2세에게 사절이 되었다.[23] 같은 해, 교황 율리우스와 아라곤의 페르난도 2세의 스페인 군대의 지원을 받아 메디치 가문은 피렌체의 통제권을 되찾았다.[17]
1510년, 메디치 가문이 로마 근처에 살고 있을 때, 그들의 집안 하녀 시모네타 다 콜레베키오(Simonetta da Collevecchio)가 임신하여 아들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를 낳았다. 어두운 피부 때문에 "일 모로"(Il Moro, "무어인")라는 별명을 가진 알레산드로는 공식적으로 로렌초 2세 데 메디치의 사생아로 인정받았지만, 당시와 오늘날까지 다양한 학자들은 알레산드로가 줄리오 데 메디치의 사생아라고 주장한다.[24] 그의 혈통의 진실은 여전히 알려지지 않고 논쟁의 대상이다.[25]
2. 2. 추기경 시절
줄리오 데 메디치는 1513년 사촌형인 교황 레오 10세에 의해 피렌체 대주교 겸 추기경에 임명되었다.[112] 그는 레오 10세의 치세 동안 교황청의 정책을 결정하는 핵심 참모로 활동했다. 잉글랜드의 보호 추기경이자 우스터의 명예주교였으며, 1517년 상서국 차장이 되어 교황청 정책을 책임졌다.[112] 제5차 라테라노 공의회에서 활약하였고, 1519년 로렌초 2세 데 메디치가 사망하자 피렌체의 통치자가 되었다.1510년경, 메디치 가문의 하녀였던 Simonetta da Collevecchio|시모네타 다 콜레베키오it가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를 낳았다. 알레산드로는 공식적으로 로렌초 2세 데 메디치의 사생아로 인정받았지만, 당대와 현대의 많은 학자들은 알레산드로가 줄리오 데 메디치의 사생아라고 주장한다.[24] 클레멘스 7세는 알레산드로를 총애하여 이폴리토 데 메디치를 제치고 피렌체의 초대 세습 군주로 승격시켰다.[26]


추기경 시절 라파엘로를 발탁했으며, 1520년에는 정적인 마키아벨리에게 『피렌체사』의 집필을 의뢰했다. 코페르니쿠스의 연구도 지원했다.
3. 교황 선출
1521년 교황 레오 10세가 선종한 후, 줄리오 데 메디치 추기경은 유력한 차기 교황 후보로 부상했다.[112] 그러나 콘클라베에서 알레산드로 파르네세(훗날 교황 바오로 3세) 추기경을 비롯한 경쟁자들의 견제로 인해 교착 상태에 빠졌다.[38] 줄리오 추기경은 자신의 교황 선출이 어렵다고 판단, 전술적 움직임으로 신성 로마 제국의 황제 카를 5세의 스승이었던 아드리아노 6세를 지지하는 척했다.[34] 그러나 이는 역효과를 낳아 아드리아노 6세가 교황으로 선출되었다.[34]
아드리아노 6세는 20개월의 짧은 재위 기간 동안 줄리오 추기경의 의견을 중시하였고, 줄리오 추기경은 그 기간 동안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했다.[39] 1523년 9월 14일 아드리아노 6세가 선종하자, 이어진 콘클라베에서 줄리오 추기경은 프랑수아 1세의 반대를 극복하고[43] 1523년 11월 19일 교황 클레멘스 7세로 선출되었다.[44] 이 과정에서 황제 카를 5세의 지지를 받았다.[112]
4. 교황 재위
교황 클레멘스 7세는 즉위 후 유럽의 평화를 위해 니콜라우스 폰 쇤베르크 주교를 프랑스, 스페인, 잉글랜드에 파견했으나 실패했다.[46]
교황 레오 10세 치하에서 유능한 추기경으로 활동했던 클레멘스 7세는 교황 즉위 후 불안정한 국제 정세에 휘둘려 로마 약탈을 겪었다. 종교 개혁에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하고 메디치 가문의 이익을 우선시했다.
라파엘로를 후원하고 마키아벨리에게 『피렌체사』 집필을 의뢰하는 등 예술・문화 후원자로서의 면모를 보였다. 코페르니쿠스의 연구를 지원하고 미켈란젤로에게 시스티나 성당 벽화 제작을 의뢰하기도 했다.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를 둘러싼 프랑스와 합스부르크 가문 간의 분쟁(이탈리아 전쟁)과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 운동 속에서, 1527년 프랑수아 1세와의 동맹에 대한 보복으로 카를 5세 군대의 로마 약탈을 겪었다. 클레멘스 7세는 산탄젤로 성으로 피신했다.
이후 카를 5세와 화해하고 볼로냐에서 황제 대관식을 거행했다.[109] 알레산드로를 피렌체 공으로 임명하며 메디치 가문의 피렌체 통치를 공고히 했다.
1533년 카테리나 데 메디치와 앙리(훗날의 앙리 2세)의 결혼식에 참석했으나, 헨리 8세와의 잉글랜드 분쟁은 심화되었다. 1534년 9월 25일 독우산광대버섯 중독으로 추정되는 질병으로 사망했다.
4. 1. 정치적 상황과 외교 정책
클레멘스 7세 재위 기간 동안 유럽은 합스부르크 왕조의 신성 로마 제국 및 스페인과 발루아 왕가의 프랑스 왕국 간의 대립으로 혼란스러웠다. 두 강대국은 유럽 패권을 두고 다투었으며, 특히 이탈리아반도를 차지하기 위해 경쟁했다.[114]클레멘스 7세는 즉위 후 카푸아 교구장 니콜라우스 폰 쇤베르크 주교를 프랑스, 스페인, 잉글랜드에 파견하여 유럽의 전쟁을 종식시키려 했으나 실패했다.[46]
초기에 클레멘스 7세는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와 프랑스의 프랑수아 1세 사이에서 중립을 유지하려 했다. 그러나 1524년 프랑수아 1세가 밀라노를 침공하자, 1525년 1월 프랑스, 베네치아 등 이탈리아 도시 국가들과 동맹을 맺었다.[115]
1525년 2월 파비아 전투에서 프랑수아 1세가 패배하고 포로로 잡히자, 클레멘스 7세는 다시 카를 5세와의 관계를 회복했다. 하지만 1526년 마드리드 조약으로 프랑수아 1세가 석방되자, 교황은 다시 카를 5세를 멀리하고 프랑스, 밀라노 등과 코냑 동맹을 결성했다.
이러한 클레멘스 7세의 외교 정책은 교황청 내 친독일파의 출현을 야기했다. 1526년 9월 폼페오 콜론나 추기경의 사병들이 바티칸 언덕을 약탈했고, 로마 시 전체가 그의 손에 들어갔다. 굴욕을 당한 클레멘스 7세는 신성 로마 제국 편으로 돌아서겠다고 약속했지만, 콜론나 추기경이 나폴리로 떠나자 약속을 어기고 그를 파면한 후 공격했다. 이에 카를 5세는 교황을 '목자가 아니라 늑대'라고 비난하며, 루터파의 요구에 따라 공의회를 소집하겠다고 위협했다.[116]
1527년 5월, 피렌체에서는 메디치 가문의 적대 세력(공화파)이 혼란한 정국을 틈타 권력을 장악하고 메디치 가문을 추방했다.[121] 산탄젤로 성에 피신해 있던 교황은 이 소식을 듣고도 아무런 조치를 취할 수 없었다.
1529년 6월, 전쟁 당사국들이 바르셀로나 평화 조약을 체결할 때, 클레멘스 7세는 카를 5세에게 메디치 가문의 통치권 회복을 위한 군사적 지원을 요청했고, 카를 5세는 피렌체 탈환을 돕기로 약속했다. 1530년 2월 24일, 볼로냐에서 카를 5세를 위한 신성 로마 제국 황제 대관식[122]을 거행하며 교황과 황제 간의 화해가 이루어졌다.
카를 5세의 군대는 11개월간의 포위 공격 끝에 1530년 8월 피렌체를 점령했고, 클레멘스 7세는 자신의 재종손자[123]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124]를 피렌체의 세습 공작으로 임명했다. 이후 클레멘스 7세는 카를 5세의 뜻에 따르는 정책을 펼쳤다. 이는 카를 5세가 독일에서 종교 개혁을 외치는 루터파에 대해 강경한 행동을 취하도록 유도하는 한편, 공의회를 열자는 카를 5세의 요구를 피하기 위한 것이었다.[116]
1533년, 클레멘스 7세는 자신의 손녀[125] 카트린과 프랑수아 1세의 차남 앙리의 정략결혼을 성사시켰다.[126] 교황은 이 결혼을 통해 코냑 동맹 전쟁 이후 이탈리아에서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던 카를 5세의 세력을 견제하고자 했다.
4. 2. 로마 약탈 (1527년)
1527년, 신성 로마 제국 황제 카를 5세의 군대가 교황령 로마를 침공하여 약탈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이는 코냑 동맹 전쟁 중 프랑수아 1세와 동맹을 맺은 교황 클레멘스 7세에 대한 보복이었다.[109]샤를 3세 드 부르봉 공작이 이끄는 제국군은 로마 성벽을 공격했으나, 샤를이 전사하면서 군대의 통제력을 잃었다. 지휘 체계가 무너진 병사들은 도시를 무차별적으로 약탈하고 파괴했으며, 살인, 강간, 방화를 저지르며 로마를 끔찍한 혼란에 빠뜨렸다.[112]

클레멘스 7세는 산탄젤로 성으로 피신했으나,[121] 결국 항복하고 굴욕적인 조건으로 석방되었다. 이 사건으로 수많은 로마 시민들이 사망하거나 도시를 떠났으며, 르네상스 시대의 종말을 알리는 사건 중 하나로 여겨진다.[112]
4. 2. 1. 코냑 동맹 전쟁
합스부르크 왕조가 지배하는 신성 로마 제국과 발루아 왕가 통치하의 프랑스 왕국은 이탈리아반도를 차지하기 위해 대립하고 있었다. 클레멘스 7세는 카를 5세의 지지로 교황에 즉위했지만, 카를 5세가 반-프랑스 동맹[114] 갱신을 요구하자 이를 거부하면서 관계가 소원해졌다. 1524년 프랑스 국왕 프랑수아 1세가 밀라노를 점령하자, 클레멘스 7세는 카를 5세와 관계를 단절하고 1525년 1월 프랑스, 베네치아 등 이탈리아 도시 국가들과 동맹을 맺었다.[115] 그러나 프랑수아 1세가 파비아 전투에서 패배하자 교황은 다시 카를 5세와 관계를 복구했다.1526년 마드리드 조약으로 프랑수아 1세가 풀려난 후, 클레멘스 7세는 다시 카를 5세를 멀리하고 프랑스, 밀라노 등과 반-합스부르크 동맹(코냑 동맹)을 추진했다. 이러한 교황의 정책은 교황청 내 친독일파의 출현을 야기했고, 1526년 9월 폼페오 콜론나 추기경의 사병들이 바티칸 언덕을 약탈했다. 굴욕을 당한 클레멘스 7세는 신성로마제국 편으로 돌아서겠다고 약속했지만, 콜론나 추기경이 나폴리로 떠나자 약속을 어기고 그를 파면한 후 공격했다. 카를 5세는 교황을 비난하며 공의회 소집을 위협하며 압박했다.[116]
나폴리 왕국의 통치자이기도 한 카를 5세가 파비아 전투(1525년)에서 승리하며 북부 이탈리아에서의 영향력이 커져 이탈리아반도 내에서 매우 위협적인 세력이 되었다. 1526년, 클레멘스 7세는 프랑스, 베네치아, 밀라노, 피렌체 등과 코냑 동맹을 결성하여 카를 5세의 세력을 몰아내려 했다.[117] 코냑 동맹군이 롬바르디아의 로디를 함락시키며 북이탈리아를 장악하자, 제국군(스페인+신성로마제국)이 반격하여 밀라노를 점령하고 스포르차 가문[118][119]을 몰아냈다. (1521년부터 밀라노[120]는 친황제파인 스포르차 가문이 통치하고 있었다.)
4. 2. 2. 약탈의 배경과 전개
클레멘스 7세가 교황으로 재위하던 시기, 유럽은 합스부르크 왕조의 신성 로마 제국 및 스페인과 발루아 왕가의 프랑스 왕국이라는 두 강대국의 대립으로 혼란스러웠다. 이들은 유럽의 패권을 두고 다투었으며, 특히 이탈리아반도를 차지하기 위해 경쟁했다.[114][115]클레멘스 7세는 카를 5세의 지지로 교황이 되었으나, 카를 5세가 프랑수아 1세에 대항하는 동맹 갱신을 요구하자 이를 거부하면서 관계가 멀어졌다. 1524년 프랑수아 1세가 밀라노 공국을 침공하자, 클레멘스 7세는 카를 5세와의 관계를 끊고 1525년 1월 프랑스, 베네치아 공화국 등 이탈리아 도시 국가들과 동맹을 맺었다.[115] 그러나 1525년 2월, 프랑수아 1세가 파비아 전투에서 패배하여 포로가 되자, 교황은 다시 카를 5세와 관계를 회복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1526년 마드리드 조약으로 프랑수아 1세가 풀려나자, 교황은 다시 황제를 멀리하고 프랑스, 밀라노 등과 반-합스부르크 동맹(코냑 동맹)을 추진했다.
클레멘스 7세의 변덕스러운 정책은 교황청 내 친독일파의 등장을 야기했다. 1526년 9월, 폼페오 콜론나 추기경의 사병들이 바티칸 언덕을 약탈했고, 로마 시 전체가 그의 손에 들어갔다. 굴욕을 당한 클레멘스 7세는 신성 로마 제국 편으로 돌아서겠다고 약속했지만, 콜론나 추기경이 나폴리 왕국으로 떠나자 약속을 어기고 그를 파면하고 공격했다. 카를 5세는 교황을 늑대라고 비난하며, 루터파의 요구에 따라 공의회를 소집하겠다고 위협했다.[116]
황제는 제국군 지휘관 샤를 3세 드 부르봉 공작에게 교황령의 수도인 로마로 진격하라고 명령했다. 1527년 5월 6일, 로마에 도착한 제국군은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을 공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샤를이 성벽을 오르던 중 총에 맞아 전사하면서 상황이 급변했다. 용병료도 제대로 받지 못해 분노한 용병들은 지휘관의 죽음으로 흥분했고, 지휘 체계는 무너졌다. 성벽이 무너지자 제국 용병들은 폭도로 변해 로마를 철저히 파괴하고 약탈했다.

전사한 샤를을 대신해 필리베르 드 샬롱이 지휘를 맡았지만, 병사들을 통제할 수 없었다. 규율과 지휘 체계가 무너진 제국군은 로마 시내에서 무차별적인 약탈, 살육, 파괴, 방화, 강간을 자행했다. 이들은 강도로 돌변하여 로마를 무법천지로 만들었다. 포로가 된 교황군 병사 1,000명이 공개 처형되었고, 성당, 수도원, 추기경과 고위 성직자들의 저택이 약탈당하고 파괴되었다. 심지어 신성 로마 제국과 친분이 있던 추기경들조차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거액의 금전을 바쳐야 했다. 수녀를 포함한 여자들은 나이에 상관없이 강간당한 후 살해되었다.
4. 2. 3. 피해와 참상
1527년 5월 6일, 샤를의 지휘 아래 신성 로마 제국군이 로마로 진입하여 아우렐리아누스 성벽을 공격했다. 그러나 샤를이 전사하면서 제국군은 통제 불능 상태에 빠졌다. 지휘 체계가 무너진 병사들은 로마 시내에서 무차별적인 약탈, 살육, 파괴, 방화, 강간을 자행했다.[112] 이들은 강도로 돌변하여 로마를 무법천지로 만들었다.포로가 된 교황군 병사 1,000명은 잔혹하게 공개 처형되었고, 성당과 수도원, 추기경과 고위 성직자들의 저택도 약탈당하고 파괴되었다. 심지어 신성 로마 제국과 친분이 있던 추기경들조차 목숨을 부지하기 위해 거액의 금전을 바쳐야 했다. 수녀를 포함한 여자들은 나이에 상관없이 강간당한 후 살해되었다.[112]
이러한 약탈로 인해 막대한 인명 피해와 문화재 파괴가 발생했다. 1527년 인구조사에서 로마 인구는 약 54,000명이었으나, 약탈로 인한 사상자와 국외 도피자는 총 45,000명 정도였다(사망자는 약 12,000명).[112]
4. 2. 4. 교황의 항복과 이후
1527년 로마 약탈 당시 교황 클레멘스 7세는 산탄젤로 성으로 피신하였다.[121] 이후 항복한 교황은 막대한 배상금을 지불해야 했다. 교황은 오르비에토, 비테르보 등지로 피신했다가 1528년에야 로마로 돌아올 수 있었다. 로마 약탈로 인해 로마의 인구가 급감하고 도시가 황폐해졌다.4. 3. 잉글랜드 교회의 분열
헨리 8세는 아라곤의 캐서린과의 혼인을 무효화하고자 했다.[127][128][129] 헨리 8세는 캐서린과의 사이에서 아들을 얻지 못하자, 튜더 왕조의 혈통을 잇기 위해 아들을 원했다. 그는 캐서린과의 결혼이 하느님의 눈에 죄악이기 때문에 아들을 얻지 못한다고 생각했다.[127][128][129]캐서린은 헨리 8세의 죽은 형 아서의 아내였기에, 헨리 8세는 형수와 결혼하여 하느님의 벌을 받았다고 주장했다.[128][129] 헨리 8세와 캐서린의 결혼은 교황 율리오 2세의 특별 관면을 받아 이루어졌었다.[130] 헨리 8세는 이 관면 자체가 잘못되었고, 캐서린과의 혼인은 처음부터 불법이라고 주장했다.[131]
1527년 12월, 헨리 8세는 특사 윌리엄 나이트를 보내 교황에게 혼인 무효를 요청했다. 교황은 1503년 교황 율리오 2세의 관면을 근거로 결정을 유보했다. 이는 캐서린의 조카인 카를 5세의 눈치를 보았기 때문이다. 헨리 8세와 캐서린의 혼인이 위법이라고 선언하면 카를 5세의 반발과 폐위 위협이 있을 수 있었다. 1528년 3월, 헨리 8세는 다시 특사를 보냈지만, 교황의 태도는 변하지 않았다.[132] 다만, 교황 특사를 공동 재판장으로 하는 이혼 소송 진행은 허락했다.[133]
1528년 9월 29일, 교황 특사 로렌초 캄페지오 추기경이 런던에 도착하여 특별 법원 판사가 되었다. 1529년 5월 31일, 런던 블랙브라이어스에서 교황청 법정이 열렸다.[134] 주요 쟁점은 율리오 2세의 관면 유효성이었다. 캐서린은 관면장을 제시하며 결혼의 합법성을 주장했고, 공방이 이어졌다. 1529년 7월 23일, 캄페지오는 소송을 무기한 연기하고 로마로 돌아갔다.[134]
- -|]]
혼인 무효화가 불가능해지자, 헨리 8세의 측근들은 교황을 무시하라고 조언했다. 그러나 1530년 잉글랜드 의회에서 성직자들과 법률가들은 캔터베리 대주교가 교황의 지시에 불복할 수 없다고 결의했다. 존 피셔 주교는 교황의 권위를 옹호했다.
헨리 8세는 1532년 말 또는 1533년 초에 앤 불린과 결혼했다. 1532년 11월 14일 도버 성에서 결혼식을 올렸다는 기록과 1533년 1월 25일 웨스트민스터 화이트홀 궁전에서 올렸다는 기록이 있다. 혼배미사를 집전한 사제는 롤런드 리 신부 또는 조지 브라운 신부로 추정된다.
교황의 친구인 윌리엄 워햄 대주교가 사망하자, 헨리 8세는 토머스 크랜머 신부를 새 대주교로 추천했고, 클레멘스 7세는 이를 승인했다. 크랜머는 헨리 8세의 요청대로 캐서린과의 혼인을 무효라고 선언했다.
1533년 6월, 앤 불린은 웨스트민스터 사원에서 잉글랜드 왕비 대관식을 거행하고, 석 달 후 엘리자베스 공주를 낳았다. 교황은 헨리 8세와 크랜머를 파문했다. 헨리 8세는 1534년 의회를 통해 수장령을 발표, 잉글랜드 교회를 로마 가톨릭으로부터 분리시켰다.
4. 4. 수염
1527년 반년간의 유폐 기간 동안 클레멘스 7세는 로마 약탈 당시 희생당한 사람들을 애도한다는 뜻을 표현하기 위해 수염을 길렀다. 이는 성직자들은 모두 깨끗이 면도해야 한다는 당시 교회법 조항에 위배되는 행동이었다.[50] 하지만 이전에도 수염을 기른 교황이 있었는데, 바로 교황 율리오 2세이다. 율리오 2세는 1511년부터 1512년까지 9개월간 수염을 길렀는데, 이 또한 클레멘스 7세와 비슷한 애도의 표시로서 교황령에 속한 도시 가운데 하나였던 볼로냐를 재정복하기 위해 싸우다가 전사한 교황군 병사들을 애도하기 위해서였다.하지만 율리오 2세와는 달리 클레멘스 7세는 1534년 선종할 때까지 수염을 계속 길렀다. 이는 곧 본보기가 되어 그의 뒤를 이은 교황 바오로 3세도 수염을 길렀으며, 1700년에 선종한 교황 인노첸시오 12세에 이르기까지 총 24명의 교황이 모두 수염을 길렀다. 따라서 클레멘스 7세는 비록 본인이 의도한 바는 아니었지만, 100년을 훨씬 넘게 이어져온 수염 스타일의 선구자가 되었다.

4. 5. 죽음
1533년 말, 클레멘스 7세는 열병과 위장 문제로 건강이 악화되었다.[34] 1534년 8월 초, 그는 매우 위독해져 아고스티노 트리불치오 추기경은 교황의 의사들이 그의 생명을 걱정한다고 프랑수아 1세에게 편지를 썼다.[62] 1534년 9월 23일, 클레멘스 7세는 카를 5세 황제에게 긴 작별 편지를 썼다.[63]클레멘스 7세는 1534년 9월 25일에 알광대버섯 중독으로 추정되는 질병으로 로마에서 선종하였다.[64][65] 향년 56세였다. 그의 유해는 산타 마리아 소프라 미네르바 성당에 안장되었다. 선종 직전, 그는 미켈란젤로에게 시스티나 경당에 최후의 심판을 그릴 것을 지시하였다.[18]
5. 예술과 학문 후원
클레멘스 7세는 예술과 학문의 열렬한 후원자였다. 라파엘로, 미켈란젤로, 세바스티아노 델 피옴보 등 당대 최고의 예술가들을 지원했다.[36][87][88] 벤베누토 첼리니는 훗날 교황의 "탁월한 취향"을 칭찬했다.[36]
교황이 되기 전 추기경 시절, 라파엘로의 ''그리스도의 변용'',[36] 미켈란젤로의 ''메디치 예배당''을 의뢰했다.[36] 교황으로서는 미켈란젤로에게 시스티나 경당에 최후의 심판을 그리도록 지시했다.[80] 또한, 빌라 마다마, 라우렌치아나 도서관 등 건축 프로젝트를 후원했다.[81][82][83][84]
마키아벨리에게 ''피렌체사'' 집필을 의뢰하고,[90]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 연구를 지원했다.[14][15][16] 1533년 교황의 비서가 지동설에 대해 설명하자, 교황은 기뻐하며 감사 선물까지 주었다.[135]
6. 평가
클레멘스 7세는 유능한 외교관이자 행정가로 평가받았지만, 우유부단하고 결단력이 부족하다는 평가도 동시에 받았다.[66] 그의 재위 기간은 이탈리아 전쟁, 종교 개혁, 오스만 제국의 위협 등 복잡한 시대적 상황과 맞물려 있었다. 특히, 로마 약탈과 잉글랜드 교회의 분열은 가톨릭 교회의 권위를 약화시키는 결과를 초래했다.[68]
클레멘스 7세의 동시대인인 프란체스코 베토리는 그를 "훌륭하고 존경받는 추기경에서 작고 덜 존경받는 교황이 되기 위해 큰 노고를 견뎠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이전 교황들의 삶을 고려해볼 때, 100년 이상 클레멘스 7세보다 더 훌륭한 사람이 왕좌에 앉은 적은 없었다"고 덧붙이며, 그의 시대에 재앙이 일어난 것은 사실이지만, "다른 모든 악으로 가득 찬 자들은 세상이 보기에 행복하게 살고 죽었다"고 언급했다.[67]
현대 역사가 케네스 고웬스는 클레멘스 7세의 실패를 유럽 정치 역학의 주요 변화라는 맥락에서 봐야 한다고 주장했다. 1520년대 중반 이탈리아 반도에서 전쟁이 격화되면서, 가톨릭 교회와 이탈리아의 자율성을 확보하려면 막대한 재정 지출이 필요했고, 정치적 생존이 교회 개혁보다 우선시될 수밖에 없었다는 것이다.[69]
이탈리아와 가톨릭 교회를 외세 지배로부터 해방시키려 했던 클레멘스 7세의 노력에 대해 역사가 프레드 도톨로는 "그의 교황 재위에서 군주적 권력의 성장에 대한 교황의 권리를 강력하게 방어"하려는 시도를 볼 수 있다고 평가했다.[70]
교황 레오 10세 치하에서 추기경으로서 유능한 수완을 발휘했던 클레멘스 7세는, 교황으로 즉위한 후에는 불안정한 국제 정세에 휘둘려 로마 약탈이라는 참사를 겪었다. 종교 개혁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대응을 하지 못하고, 메디치 가문의 이익을 옹호하는 데 주력했다는 비판을 받았다.
하지만, 클레멘스 7세는 예술과 학문의 후원자로서 라파엘로를 발탁하고, 마키아벨리에게 『피렌체사』 집필을 의뢰했으며, 코페르니쿠스의 연구를 지원했다. 미켈란젤로에게 시스티나 성당 벽화 제작을 의뢰하기도 했다.
클레멘스 7세의 시대는 르네상스 시대 이탈리아를 둘러싼 프랑스와 합스부르크 가문 간의 이탈리아 전쟁, 마르틴 루터의 종교 개혁 운동, 오스만 제국의 유럽 압박 등 혼란이 거듭되는 시기였다. 이러한 상황에서 로마 약탈이 발생했고, 이는 르네상스의 중심지였던 로마를 황폐화시켰다. 클레멘스 7세의 우유부단함도 있었지만, 시대적 상황 자체가 교황 개인의 자질만으로 극복하기 어려운 가혹한 시기였다는 평가도 있다.
결론적으로, 클레멘스 7세는 격동의 시대에 교황직을 수행하면서 여러 어려움에 직면했고, 그의 정치적 유산은 복합적으로 평가된다. 그러나 예술과 학문에 대한 그의 후원은 높이 평가받고 있다.
7. 기타
클레멘스 7세는 예술, 신학, 문학, 과학 등 다양한 분야를 후원했다. 미켈란젤로의 최후의 심판, 라파엘로의 변용 등 친퀘첸토 시대의 유명 예술 작품을 위촉하거나 감독했다.[80] 에라스무스의 자유 의지에 관하여, 마키아벨리의 피렌체사를 위촉하고,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을 승인하기도 했다.[77][90][14][15][16]
세바스티아노 델 피옴보가 1526년에 그린 초상화에서 클레멘스 7세는 수염 없이 등장한다. 1527년 로마 약탈 이후 애도의 표시로 수염을 길렀으며, 이는 교황 율리우스 2세의 선례를 따른 것이었다. 클레멘스 7세는 이후 사망할 때까지 수염을 길렀고, 이는 바오로 3세를 비롯한 후임 교황들에게 영향을 주어 1700년까지 이어지는 유행이 되었다.
클레멘스 7세의 삶은 영화와 텔레비전에서도 다루어졌는데, 넷플릭스 시리즈 《메디치: 매그니피센트》에서 영국 배우 제이콥 더드먼이 클레멘스 7세를 연기했다.
참조
[1]
웹사이트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 Biographical Dictionary – Consistory of September 23, 1513
https://cardinals.fi[...]
2024-10-22
[2]
웹사이트
Pope Clement VII (Giulio de' Medici) [Catholic-Hierarchy]
http://www.catholic-[...]
2024-10-22
[3]
백과사전
Clement VII
The Werner Company
[4]
웹사이트
The Works of John Adams, vol. 5 (Defence of the Constitutions Vols. II and III) – Online Library of Liberty
https://oll.libertyf[...]
[5]
웹사이트
Luminarium Encyclopedia: Pope Clement VII (Giulio de' Medici) (1478-1534)
http://www.luminariu[...]
[6]
웹사이트
Clement VII, Encyclopedia.com
http://www.encyclope[...]
[7]
서적
The Pontificate of Clement VII: History, Politics, Culture
https://books.google[...]
Ashgate
[8]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Pope Clement VII
http://www.newadvent[...]
[9]
잡지
The Popes of the Sixteenth and Seventeenth Centuries
https://archive.org/[...]
E. Little
1836-01-01
[10]
서적
The Sack of Rome, 1527
https://books.googl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1]
뉴스
The Restorative Power of Faith
https://www.wsj.com/[...]
2020-04-10
[12]
웹사이트
Drawing | British Museum
https://www.britishm[...]
[13]
웹사이트
Learn the Intriguing (and Sometimes Controversial) History Behind Michelangelo's 'Last Judgment'
https://mymodernmet.[...]
2020-08-01
[14]
웹사이트
Copernicus, Nicolaus (1473-1543)
http://oll.libertyfu[...]
2018-01-19
[15]
서적
The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https://plato.stanfo[...]
Metaphysics Research Lab, Stanford University
2018-09-17
[16]
웹사이트
The Priest Who Realized the Earth Revolved Around the Sun
https://www.ncregist[...]
2016-10-25
[17]
웹사이트
Th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https://cardinals.fi[...]
Florida International University
1513-09-23
[18]
웹사이트
Pope Clement VII
http://www.newadvent[...]
2013-10-21
[19]
웹사이트
The Medici Popes
http://www.paradoxpl[...]
[20]
저널
Giulio de' Medici's Music Books
1991-01-01
[21]
웹사이트
Clement VII – A Second Medici
http://www.stsmartha[...]
[22]
백과사전
Piero di Lorenzo de' Medici
https://www.britanni[...]
[23]
웹사이트
Clemente VII in 'Enciclopedia dei Papi'
https://www.treccani[...]
[24]
뉴스
Review: 'The Black Prince of Florence: The Spectacular Life and Treacherous World of Alessandro de' Medici', by Catherine Fletcher
https://www.ft.com/c[...]
2016-04-29
[25]
웹사이트
Africans in Medieval & Renaissance Art: Duke Alessandro de' Medici
http://www.vam.ac.uk[...]
[26]
웹사이트
Alessandro de Medici
https://www.pbs.org/[...]
[27]
서적
Hierarchia catholica medii et recentioris aevi
Monasterii
[28]
서적
The History of Italy
Princeton
[29]
웹사이트
Pope Clement VII
https://reformation5[...]
2014-02-05
[30]
웹사이트
First Hapsburg-Valois War (1521–26) / Fourth Italian War
http://www.historyof[...]
[31]
웹사이트
Sede vacante 1521–1522
https://www.csun.edu[...]
California State University, Northridge
[32]
서적
Luther's Fortress: Martin Luther and His Reformation Under Siege
Hachette
2015-05-05
[33]
서적
The History of Italy
Princeton
[34]
서적
The Medici: Power, Money, and Ambition in the Italian Renaissance
Pegasus
2016-03-07
[35]
웹사이트
Clement VII, Pope
https://www.encyclop[...]
[36]
백과사전
Pope Clement VII
http://www.catholic.[...]
[37]
서적
The Tragedies of the Medici
https://www.gutenber[...]
[38]
웹사이트
Sede Vacante 1521–1522
http://www.csun.edu/[...]
[39]
웹사이트
Pope Adrian VI: Proceedings of the Conclave that led to his election
https://www.pickle-p[...]
[40]
웹사이트
Sede Vacante and Conclave of 1521–1522
http://www.csun.edu/[...]
California State University, Northridge
2016-03-27
[41]
서적
The House of Medici: Its Rise and Fall
[42]
웹사이트
SODERINI, Francesco (1453-1524)
https://cardinals.fi[...]
[43]
웹사이트
The King of France declared himself openly against the election of the Cardinal de Medicis.
http://www.british-h[...]
British History Online
1923-11-19
[44]
서적
The Papacy Since 1500: From Italian Prince to Universal Past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45]
서적
Antichità ed excellenza del Protonotariato Apostolico Partecipante
Benedetti
[46]
웹사이트
Caracciolo to Charles V (30 November 1523)
http://www.british-h[...]
British History Online
2016-03-28
[47]
서적
The Medici Women: Gender and Power in Renaissance Florence
Ashgate
[48]
서적
That the world may believe: The development of papal social thought on aboriginal rights
Éditions Paulines
[49]
학술지
Pope Paul III and the American Indians
1937-04-01
[50]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Beard
http://www.newadvent[...]
[51]
서적
Untying the Knot: A Short History of Divorce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1-06-28
[52]
성경
레위기 20:21, 신명기 25:5
[53]
서적
The Life and Times of Henry VIII
Weidenfeld & Nicolson
1972
[54]
서적
Henry VIII
Yale University Press
2011
[55]
서적
The Life and Death of Anne Boleyn: 'The Most Happy'
https://archive.org/[...]
Blackwell Publishing
2004-08-20
[56]
서적
Thomas Cranmer: Churchman and Scholar
Boydell & Brewer Ltd
[57]
서적
The History of the Reformation of the Church of England ... in Six Volumes
https://books.google[...]
W. Baynes and Son
[58]
서적
The Reformation Parliament 1529–1536
https://archive.org/[...]
Cambridge University Press
[59]
웹사이트
Sede Vacante 1534
http://www.csun.edu/[...]
[60]
서적
Hierarchia Catholica Medii et recentioris aevi Tomus III, Editio Altera
Monasterii
[61]
서적
The Black Prince of Florence: The Spectacular Life and Treacherous World of Alessandro de' Medici
Bodley Head
[62]
서적
Documenti di storia italiana Vol. II
Firenze
1534-08-10
[63]
서적
Gregorovius, Volume VIII
[64]
웹사이트
7 of the World's Most Poisonous Mushrooms
https://www.britanni[...]
[65]
학술지
The death of Claudius, or mushrooms for murderers
https://www.biodiver[...]
[66]
웹사이트
Clement Vii | Encyclopedia.com
https://www.encyclop[...]
[67]
서적
The Bad Popes
Dial Press
1969
[68]
웹사이트
Key figures of the Reformation: Pope Clement VII
http://www.catholicd[...]
2020-01-20
[69]
서적
The Papacy Since 1500: From Italian Prince to Universal Pastor
Cambridge University Press
2010
[70]
웹사이트
https://fisherpub.sj[...]
2022-03-01
[71]
서적
Educating the Catholic People: Religious Orders and Their Schools in Early Modern Italy (1500–1800)
Brill
[72]
서적
Educating the Catholic People: Religious Orders and Their Schools in Early Modern Italy (1500–1800)
Brill
[73]
서적
The New Cambridge Modern History
Cambridge University Press
[74]
웹사이트
Popes, The
http://jewishencyclo[...]
[75]
웹사이트
Pope Clement
https://www.jewishvi[...]
[76]
웹사이트
Knights of Malta
http://www.knightsof[...]
2018-01-19
[77]
웹사이트
Clemente VII in "Enciclopedia dei Papi"
https://www.treccani[...]
[78]
서적
The Bad Popes
Dial Press
1969
[79]
학술지
''The Pontificate of Clement VII. History, Politics, Culture'', edited by Kenneth Gouwens and Sheryl E. Reiss
2006-08
[80]
학술지
Cardinal Giulio de'Medici's 1520 Berlin Missal and Other Works by Matteo da Milano
https://www.research[...]
2021-07-09
[81]
학술지
Michaelangelo and Copernicus: A Note on the Sistine Last Judgement
http://adsabs.harvar[...]
[82]
웹사이트
Raffaello Sanzio, the Transfiguration
https://www.museivat[...]
[83]
웹사이트
Italian Art Restorers Used Bacteria to Clean Michelangelo Masterpieces
https://www.smithson[...]
[84]
웹사이트
Laurentian Library by Michelangelo
http://www.michelang[...]
[85]
학술지
Michelangelo's Laurentian Library: Drawings and Design Process
https://www.cambridg[...]
[86]
웹사이트
Lives of the Most Eminent Painters, Sculptors and Architects
https://onlinebooks.[...]
[87]
웹사이트
Medals and coins
https://www.wga.hu/h[...]
[88]
웹사이트
Sebastiano del Piombo (About 1485–1547) | National Gallery, London
https://www.national[...]
[89]
웹사이트
Sebastiano del Piombo incorporating designs by Michelangelo | the Raising of Lazarus | NG1 | National Gallery, London
https://www.national[...]
[90]
웹사이트
Florentine Histories | work by Machiavelli
https://www.britanni[...]
[91]
서적
Copernicus' Secret: How the Scientific Revolution Began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92]
서적
The Poison Trials: Wonder Drugs, Experiment, and the Battle for Authority in Renaissance Science
https://press.uchic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21
[93]
서적
Paolo Giovio: the Historian and the Crisis of Sixteenth-Century Italy
https://press.uchica[...]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95
[94]
학술지
Giulio de' Medici's music books
https://www.research[...]
2021-07-09
[95]
웹사이트
Pietro Aretino | Italian author
https://www.britanni[...]
2023-04-16
[96]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Baldassare Castiglione
https://www.newadven[...]
[97]
웹사이트
Francesco Guicciardini | Italian historian and statesman
https://www.britanni[...]
2023-05-18
[98]
서적
Rethinking the High Renaissance: The Culture of the Visual Arts in Early Sixteenth-Century Rome, "Pope Clement VII and the Decorum of Medieval Art"
Ashgate Publishing Company
2017-09-29
[99]
웹사이트
Sack of Rome (1527): the Triumph of Mannerism in Europe
https://ehne.fr/en/e[...]
[100]
서적
The Sack of Rom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01]
서적
The Medici, Vol. 1
University Press of the Pacific
1930
[102]
서적
The History of Italy; translated, edited, with notes and an introduction by Sydney Alexander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9
[103]
웹사이트
Catholic Enyclopedia: Pope Clement VII
https://www.newadven[...]
[104]
문서
Medici's administrative role in Bologna
[105]
문서
Medici's resignation date
[106]
웹사이트
https://kotobank.jp/[...]
[107]
서적
The History of the Reformation of the Church of England ... in Six Volumes
https://books.google[...]
W. Baynes and Son
[108]
서적
詳説世界史研究
山川出版社
[109]
서적
カール5世 ハプスブルク栄光の日々
河出書房新社
2013-11-20
[110]
문서
파치가 음모 사건
[111]
문서
피렌체 침공과 메디치 가문 추방
[112]
서적
옥스퍼드 교황사전
분도출판사
[113]
문서
이폴리토에 대한 정보
[114]
문서
하드리아노 6세와 프랑스와의 관계 악화 및 반-프랑스 동맹 체결
[115]
문서
반-프랑스 동맹 체결의 결과
[116]
문서
서방교회 대분열과 공의회 수위설, 종교개혁과 교황 클레멘스 7세의 압박
[117]
문서
코냑 동맹 전쟁
1526-1530
[118]
문서
밀라노 함락과 스포르차 가문의 몰락
[119]
문서
스포르차 가문의 프란체스코 2세 공작의 배신 이유
[120]
문서
밀라노의 중요성
[121]
서적
메디치 가문 이야기
현대지성
2020-07-09
[122]
문서
마지막 신성로마제국 황제 대관식
[123]
문서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의 가계
[124]
문서
알레산드로 데 메디치의 암살
[125]
문서
카트린 드 메디치의 가계
[126]
문서
카트린 드 메디치의 결혼과 그 배경
[127]
서적
Untying the Knot: A Short History of Divorce
https://archive.org/[...]
케임브리지 대학교 출판부
1991-06-28
[128]
성경
레위기 20장 21절
[129]
문서
신명기와 레위기의 차이점
[130]
서적
The Life and Times of Henry VIII
Weidenfeld & Nicolson
[131]
문서
헨리 8세의 캐서린과의 결혼과 관면
[132]
서적
헨리 8세와 여인들
루비박스
[133]
서적
헨리 8세와 여인들 1
루비박스
2007-09-20
[134]
서적
헨리 8세와 여인들 1
루비박스
2007-09-20
[135]
서적
Copernicus' Secret: How the Scientific Revolution Began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2007-12-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